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 ‘걸어본’ 온라인 가상 전시 공간 플랫폼 MZ세대 시선 집중
김덕은 대표, “온라인 전시 내 보물찾기 등 다양한 이벤트 마련”
2023.03.01 15:57 김민정 기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에 위치한 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대표 김덕은)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문화예술 테크놀로지를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기업이다. 실제 공간을 디지털 공간에서 그대로 재현함으로써 실감형 가상 전시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주목받는 메타버스, VR, AR, NFT 기술을 이용한 가상 전시 공간이 최근 관람객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걸어본’, 사진·미술·서예·웹툰·포스터 등 전시하는 첨단 플랫폼
온라인 중심의 실감형 가상 전시 서비스 플랫폼 ‘걸어본’을 출시한 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는 현실 공간을 촬영하여 3차원 가상공간을 구축해낸다. 사진이나 미술, 서예, 웹툰, 포스터, 가족사진, 유물 등을 전시하는 첨단 플랫폼이다. 3D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가상공간 전시 플랫폼과 달리, 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는 실제 전시장에 있는 것과 같은 감흥을 느끼며 작품에 깊이 몰입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완성했다.
사진제공 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
가상 전시가 완성되기까지 최소 하루에서 일주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는데 현실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공간을 선보인다. 오프라인 전시의 경우, 갤러리 대관 비용만 해도 2~3주 기준으로 수백만 원에 달한다. ‘걸어본’ 플랫폼은 한 달에 5~15만 원으로 개인 전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가들의 경제적 부담을 대폭 낮춘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걸어본’ 플랫폼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작품을 관람하며 카카오톡이나 이메일, SNS로 전시회를 공유할 수 있다.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탑재 돼 작가와 관객, 관객과 관객 간 온라인 소통이 가능하다. 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는 최근 이응노 미술관을 촬영 후 가상 전시관으로 재현해 관람객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미술관에서 주관하는 다양한 전시 콘텐츠를 가상 공간에서 동일하게 소개하고 예술 체험 기회를 제공했다.
김덕은 대표는 “오늘날 주목받는 MZ 세대에게 예술 체험을 제공하고자 온라인 전시 내 보물찾기 등 다양한 이벤트를 고민했다”며 “그중에서도 ‘나도 큐레이터’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기획부터 섭외, 전시 진행까지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여 예술적 감각을 기르고 문화예술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기사전문 보기
출처 : 포스트 21 뉴스(김민정 기자)
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 ‘걸어본’ 온라인 가상 전시 공간 플랫폼 MZ세대 시선 집중
김덕은 대표, “온라인 전시 내 보물찾기 등 다양한 이벤트 마련”
2023.03.01 15:57 김민정 기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에 위치한 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대표 김덕은)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문화예술 테크놀로지를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기업이다. 실제 공간을 디지털 공간에서 그대로 재현함으로써 실감형 가상 전시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주목받는 메타버스, VR, AR, NFT 기술을 이용한 가상 전시 공간이 최근 관람객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걸어본’, 사진·미술·서예·웹툰·포스터 등 전시하는 첨단 플랫폼
온라인 중심의 실감형 가상 전시 서비스 플랫폼 ‘걸어본’을 출시한 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는 현실 공간을 촬영하여 3차원 가상공간을 구축해낸다. 사진이나 미술, 서예, 웹툰, 포스터, 가족사진, 유물 등을 전시하는 첨단 플랫폼이다. 3D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가상공간 전시 플랫폼과 달리, 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는 실제 전시장에 있는 것과 같은 감흥을 느끼며 작품에 깊이 몰입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완성했다.
사진제공 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
가상 전시가 완성되기까지 최소 하루에서 일주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는데 현실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공간을 선보인다. 오프라인 전시의 경우, 갤러리 대관 비용만 해도 2~3주 기준으로 수백만 원에 달한다. ‘걸어본’ 플랫폼은 한 달에 5~15만 원으로 개인 전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가들의 경제적 부담을 대폭 낮춘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걸어본’ 플랫폼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작품을 관람하며 카카오톡이나 이메일, SNS로 전시회를 공유할 수 있다.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탑재 돼 작가와 관객, 관객과 관객 간 온라인 소통이 가능하다. 징검다리커뮤니케이션(주)는 최근 이응노 미술관을 촬영 후 가상 전시관으로 재현해 관람객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미술관에서 주관하는 다양한 전시 콘텐츠를 가상 공간에서 동일하게 소개하고 예술 체험 기회를 제공했다.
김덕은 대표는 “오늘날 주목받는 MZ 세대에게 예술 체험을 제공하고자 온라인 전시 내 보물찾기 등 다양한 이벤트를 고민했다”며 “그중에서도 ‘나도 큐레이터’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기획부터 섭외, 전시 진행까지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여 예술적 감각을 기르고 문화예술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기사전문 보기
출처 : 포스트 21 뉴스(김민정 기자)